이관기능장애와 개방성 이관

Dr. Lee

Updated on:

이번 페이지에는 이관에기능장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관의 구조와 기능

​우선 아래의 그림에서 이관의 모양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귀의 구조

 

위의 그림에서 유스타키오관이라고 표기된 구조가 이관입니다. 이관의 한쪽 끝은 고막 안쪽의 공간, 즉 중이에 열려있고 다른 한쪽 끝은 콧구멍 뒷쪽의 공간으로 열려있습니다. 이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중이 안쪽 공간을 대기압에 노출되게 하여서 중이의 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

비교적 흔한 예를 한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비행기가 하강하는 경우 대기압이 낮은 상공에서 대기압이 높은 지상으로 내려오므로 고막 바깥쪽의 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고막이 중이강 쪽으로 밀리게 됩니다. 이 때 이관이 적절히 기능하여 콧구멍 쪽으로 들어오는 압력을 중이에 전달하여 압력 균형을 맞춰주면 고막은 안쪽으로 함몰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관이 막혀있다고 가정하면 고막은 심하게 안쪽으로 밀리면서 귀의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비염이 심하거나 아데노이드 비대증이 있는 경우, 이관의 콧구멍 쪽이 막혀서 폐쇄가 일어나면 중이의 압력을 적절히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

이관기능장애

언급한 예를 이해하셨다면 이관에서 발생한 질환들의 대부분을 생각해 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관이 비정상적으로 계속 열려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목소리를 낼 때 발생한 음파가 이관을 타고 고막에까지 전달되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평소보다 자신의 목소리가 강조되어 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것이 이관개방증입니다. 대표적으로 갑자기 체중을 감량한 경우 이관을 둘러싸고 있는 지방조직이 소실되면서 이관개방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으로 고막을 보고있으면 호흡에 따라 고막이 들어갔다 나왔다하는 특징적인 증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

그러면 이관이 막히면 어떻게 될까요? 이관이 막혀서 자신의 목소리가 평소보다 적게 들어가거나, 혹은 압력조절의 불가로 고막운동성이 저하되면 당연히 소리가 먹먹하고 둔하게 들리게 됩니다. 환자들은 주로 귀가 먹먹한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귀 먹먹함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저주파에서 난청이 생기거나 중이염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관기능장애도 대표적으로 귀 먹먹함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

이비인후과 질환명에 맞춰서 포스팅 제목을 이관기능장애와 개방성 이관으로 정하기 했지만 결국은 이관이 닫혀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와 이관이 열려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로 생각해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관기능장애의 치료

그러면 이러한 경우 어떻게 치료해야할까요? 우선, 이러한 현상들은 일시적인 경우가 가장 많다는 점을 주지하고 짧은 시간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관 개방증의 경우 급격한 체중감량으로 주로 나타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다시 살이쪄서 그런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이관이 닫혀있는 경우도 급성 비염 등으로 이관 입구부가 막히거나 하는 이유로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이관을 열고 닫는 근육의 기능에 일시적인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였을 경우도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일정기간이 지난후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만약 기간이 경과하여도 호전이 없다면 이관이 열려있는 경우 이관 입구부에 필러를 주입하는 방법 등으로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고 이관이 계속 막혀있는 경우에는 이관 입구부를 넓히는 치료를 시행하거나 아데노이드 등 이관을 막고있는 구조적 문제가 있으면 이를 제거하는 등의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

요약

이관은 그 자체로도 이와 같은 증상을 나타내지만 이관이 중요한 이유는 이관이 중이의 환기를 적절히 해주지 못하면 중이염이 발생, 악화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중이염 페이지에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습니다. . ​

이관기능 이상에 대해서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으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이관기능장애는 확실한 원인 감별이 중요하고 돌발성 난청 등과 같은 질환에 대한 배제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통해서 정확한 진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